노인의학과 생활습관의학의 통합적 접근: 임상 적용을 위한 실천 전략
Integrated Approach of Geriatrics and Lifestyle Medicine: Actionable Strategies for Clinical Application
학습목표(Learning Objectives)
본 강연이 끝난 후, 청중은 다음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인구 고령화의 임상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노인의학과 생활 습관 의학의 상호보완적 역할을 설명한다.
생활습관의학의 6가지 핵심 요소(영양, 신체활동, 수면, 스트레스 관리, 사회적 관계, 유해물질 회피)가 핵심 노인 증후군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어떻게 치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향상된 5M 프레임워크를 실질적인 도구로 활용하여, 생활습관의학의 6가지 핵심 원칙을 노인 환자의 포괄적인 치료에 체계적으로 통합한다.
통합된 노인의학-생활습관의학 모델을 임상 현장에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의학 교육 과정에 포함되도록 옹호한다.
Describe the complementary roles of Geriatrics and Lifestyle Medicine in addressing the clinical challenges of an aging population.
Explain how the six pillars of Lifestyle Medicine (nutrition, physical activity, sleep, stress management, social connection, and avoidance of risky substances) can be therapeutically applied to prevent and manage key geriatric syndromes.
Utilize the enhanced 5M framework as a practical tool to systematically integrate the principles of the six pillars of lifestyle medicine into the comprehensive care of older adults.
Develop strategies to implement an integrated Geriatrics-Lifestyle Medicine model within clinical practice and advocate for its inclusion in medical education.
초록(Abstract)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는 복합적인 노인증후군 관리라는 임상적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기존 의료 교육 시스템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강연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두 가지 분야의 통합을 제안한다. 바로, 복잡한 노인 문제를 진단하는 '무엇(What)'에 초점을 맞춘 노인 의학(Geriatrics)과, 근거 기반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어떻게(How)'에 집중하는 생활습관의학(Lifestyle Medicine)의 통합적 접근을 제안한다. 특히, 영양, 신체 활동, 수면 등 생활습관의학의 6가지 핵심 요소가 어떻게 근감소증, 섬망, 인지 저하 같은 주요 노인 증후군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효과적인 치료 도구가 되는지 살펴본다. 더 나아가, 이러한 통합 모델을 임상 현장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프레임워크로서 '다중 복합성(Multicomplexity)'을 포함하여 확장한 5M 모델을 구체적인 틀로 제시한다. 이 두 분야의 통합적 접근은 노인 환자에게 단순히 질병을 관리하는 것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고 기능적 독립성을 유지시키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는 건강 노화를 위한 필수적인 미래 전략이다. 이를 통해 노인 환자의 건강 수명을 최적화하고, 미래 의료 교육 과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합할 것을 촉구하고자 한다.
The global aging of the population presents a significant clinical challenge in managing complex geriatric syndromes,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dical education system. This lecture proposes an integrative approach as a solution, combining Geriatrics, which focuses on the 'What'—diagnosing complex health issues in older adults—and Lifestyle Medicine, which concentrates on the 'How'—providing evidence-based solutions. We will particularly examine how the six core pillars of Lifestyle Medicine, including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sleep, serve as effective therapeutic tool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key geriatric syndromes such as sarcopenia, delirium, and cognitive decline. Furthermore, the presentation introduces an expanded 5M model that incorporates 'Multicomplexity' as a practical framework for systematically applying this integrated model in clinical practice. This dual approach offers older patients a fundamental solution that extends beyond mere disease management to enhance quality of life and maintain functional independence, representing an essential future strategy for healthy aging. Through this, we aim to optimize the health span of older adults and call for the integration of this new paradigm into future medical education curricula.


PhD, MPH, DipIBLM/ABLM, FACLM
이승현 박사
노인의학과 생활습관의학의 통합적 접근: 임상 적용을 위한 실천 전략
Integrated Approach of Geriatrics and Lifestyle Medicine: Actionable Strategies for Clinical Application
예방의학, LM
대한생활습관의학원/학회 설립이사장
- 미국 로마린다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
- 대한생활습관의학원(Korean College of Lifestyle Medicine, KCLM – 전 KCLM교육원) 설립자/이사장
- 국제생활습관의학보드기관/글로벌생활습관의학연맹기관 보드위원(Directors of Advisory Board)
- 미국생활습관의학회 펠로우 및 다수 위원
- 미국 하버드 의대 기반 LM101(입문) 코스 전담 교수
- 미국 하버드 부속 병원 기반 페이빙 웰니스 프로그램 전담 교수
- 미국 예일 의대 기반 참된 건강 기획 (True Health Initiative) 디렉터 카운슬 멤버
- 영국 기반 학술지 (Lifestyle Medicine) 편집 보드 위원
- 캐나다 기반 다음세대 대학의 생활습관의학 코스 자문 위원
- 유럽생활습관의학기관 아시아/한국 대사
- 아시아생활습관의학회 공동설립자 및 전 회장; 아시아생활습관의학카운슬 보드위원
- 한국 차의과대학 통합의학 대학원 겸임교수(생활습관의학 코스 주임교수)
- 한국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건강도시연구센터 객원 연구원
- 건강행동, 교육 및 증진학(박사 후 전공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신경운동/행동과학 및 공중보건학
(박사 전공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휴먼 서비스(석사 전공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미국/국제 생활습관의학 보드 인증 전문가(한국인 최초)
- 미국립 웰니스 기관 인증 웰니스 전문가
- 미국 웰코치 기관 인증 건강 및 웰니스 코치
- 미국 건강 교육사 협회 인증 전문가
- 미국 치유 레크레이션 협회 인증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