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은 심장재활을 통해 회복될 수 있는가?

Can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be recovered by cardiac rehabilitation?




학습목표(Learning Objectives)



1.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발생에 있어 생활습관 및 환경 요인의 역할을 이해한다.

2. 심장재활의 핵심 구성요소가 필요한 이유를 이해한다.


1. To understand role of lifestyl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development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2.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core components of cardiac rehabilitation




초록(Abstract) 


손상 반응 이론(response to injury theory)에 따르면, 죽상경화증은 혈관에 가해진 손상에 대한 섬유증식성(fibro-proliferative) 및 염증 반응에 의해 발병한다. 심혈관질환(CVD)은 환경에 기인한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WHO 자료). 많은 연구들은 생활습관 및 환경 요인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과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에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흡연, 식이/영양, 신체 활동, 심리사회적 위험 요인 등과 같은 생활습관 요인들은 잘 알려진 위험인자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죽상경화증의 발생에 크게 기여한다. 관상동맥질환의 사망률은 지난 20년간(1980–2000) 약 50% 감소했는데, 이는 ① 치료법의 발전과 ② 위험인자의 효율적 관리에 거의 동등하게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심장재활(CR)은 포괄적인 핵심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및 심부전에 대해 Class 1A 권고 수준으로 자리 잡았고, 이는 수많은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s)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장재활 참여율은 유럽과 미국에서 30–40%에 불과하며, 한국에서는 1.5%에 불과하다. 따라서 죽상경화증 환자의 회복과 예후 개선을 위해 환자 중심의 포괄적 심장재활을 개발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재래식 센터 기반 CR에 대한 접근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가정 기반 CR 또는 하이브리드 CR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sponse to injury theory, atherosclerosis develops by fibro-proliferative and inflammatory response to injury done on the vasculature. Cardiovascular disease (CVD) comprises the highest cause-specific death attributable to the environment (WHO data). A large body of evidence have shown that lifestyle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a dominant role in develop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 and ischemic stroke. Lifestyle factors including smoking, diet/nutrition, physical activity, psychosocial risk facto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well-known risk factors an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Mortal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has been reduced by ~ 50% in recent two decades (1980-2000) attributed to both 1) advance in therapeutics and 2) efficient control of risk factors with almost equal contribution. Cardiac rehabilitation (CR) comprised of comprehensive core components has been estimated as Class 1A for atherosclerotic CVD and heart failure, which was supported numerous RCTs. Nonetheless, participation rate to CR is 30-40% in Europe and USA, and only 1.5% in Korea. As such, more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and practice patient-centered comprehensive CR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sis for the recovery and improved outcomes. Home-based CR or hybrid CR could be effective options to overcome access barrier of the traditional center-based CR.

MD, PhD

정익모 박사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은 심장재활을 통해 회복될 수 있는가?
Can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be recovered by cardiac rehabilitation?

순환기내과

Ick-Mo Chung, MD, PHD

Division of Cardiology, Mokdong Hospital,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