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고령사회 만들기
Making a Healthy Aging Society
학습목표(Learning Objectives)
건강한 고령사회의 개념을 이해한다.
건강한 고령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수단을 학습한다.
건강한 고령사회 실현을 위한 생활습관 관리의 중요성을 학습한다.
Understand the concept of a healthy aging society.
Learn about policy measures for achieving a healthy aging societ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festyle management in realizing a healthy aging society.
초록(Abstract)
2024년 12월부터 65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은 건강한 고령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의한 ‘건강한 고령화’는 ‘노년기에 웰빙(wellbeing)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능력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기능 능력은 개인의 내재적 능력과 환경요인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다. 개인의 내재적 능력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 학습과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 이동 능력,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등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능력은 노인 마다 매우 다르고 그 다름은 교육수준, 경제력, 지역사회 자원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건강한 고령사회의 개념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노인의 일자리, 주거 공간, 건강 수준, 사회참여 활동을 아우르는 종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이 가운데 건강수준 관련해서는 캐나다의 보건부 장관이었던 Lalonde 가 주장한 Health Field Concept 라는 개념적 틀이 자주 인용되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건강결정요인은 크게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가 생활습관, 두 번째가 유전 등 생물학적 요인, 세 번째가 대기오염 등 환경적 요인, 네 번째가 보건의료체계, 즉 제도적 지원이다. 이 네 가지 요인 가운데 약 50% 가까이는 생활습관이 관여하고 있다. 우리가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위험요인, 예를 들어 흡연, 음주, 나쁜 식습관, 운동 부족 문제에 주목하는 이유는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노력 과 더불어 사회적 지지체계가 보탬이 되면 교정 가능하기 때문이다. 건강한 고령화를 위해서도 젊어서부터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도록 사회적 노력이 보태져야 한다.
From December 2024, South Korea entered a super-aged society, with people aged 65 and older accounting for more than 20% of the total population. It is now time for all of us to join forces and wisdom to build a healthy aging society.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y aging”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 functional ability that enables well-being in older age. Functional ability, in turn,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s intrinsic capac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trinsic capacity refers to a person’s ability to meet basic needs, to learn and make decisions, to be mobile, to form and maintain relationships, and to contribute to society.
However, these abilities vary widely among older adults, influenced by a complex mix of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economic capacity, and community resources. Therefore, realizing the concept of a healthy aging society requires a multidimensional policy approach—one that integrates employment, housing, health status,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In particular, regarding health status, the Health Field Concept proposed by former Canadian Minister of Health Marc Lalonde provides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This theory classifies the determinants of health into four broad categories: Lifestyle, Biological factors such as heredit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pollution, and Health care systems, meaning institutional support.
Among these, lifestyle factors account for nearly 50%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 We pay special attention to lifestyle-related health risks—such a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poor diet, and lack of physical activity—because these are modifiable. With individual effort supported by social systems, such risk factors can be improved.
To achieve healthy aging, society must therefore foster healthy lifestyle habits from youth, supported by collective and institutional efforts that encourage individuals to live well and age well.


MD, PhD
윤석준 박사
건강한 고령사회 만들기
Making a Healthy Aging Society
예방의학
[학력]
1991 서울의대 졸업
1997 서울의대 의료관리학 의학석사
2000 서울의대 의료관리학 의학박사
[경력]
2002 –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24 – 현재 고려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원장
2020–현재 보건복지부 장기요양위원회 위원
2021–현재 대한전문병원협의회 윤리위원회 위원장
2021–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23–현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비상임이사
2023–현재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2024–현재 보건복지부 적합성평가위원회 위원장
2018–2022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단 단장
2019–2025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원장
2021–2025 국민건강보험공단 재정운영위원회 위원장
2024-2025 대통령직속 정신건강정책혁신위원회 위원
2024-2025 대통령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