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지현 박사
PhD
식품영양학
지구건강식단의 개념과 실천
Concept and Practice of Planetary Health Diets
[학력 및 자격증]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학사 & 영양사 면허, 1993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학사, 1995
-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 호텔·레스토랑·관광경영학과 석사, 1996
- 미국 퍼듀대학교 호스피탈리티·관광경영학과 박사 & 미국영양사 자격증, 2001
[경력] 現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건강문화사업단 부단장
-연세대학교 지구건강연구소 지구건강식단센터장
-대한가정학회 회장
-한국급식학회 수석부회장
-한국식생활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부회장
-한국임상영양학회 섭외이사
-(전)미국 텍사스주정부 교육부 아동영양과 공무원
-(전)일본 여자영양대학 급식영양연구실 객원교수
-(전)동아시아식생활학회 회장
-(전)서울대학교 지속가능발전연구소 교육센터장
-(전)서울대학교 BK4단계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장
[수상]
- 보건의 날 보건복지부 장관표창, 2017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2020
- 통일교육 유공 대통령표창, 2021
- 식품산업시책 유공 농림축산식품부 장관표창, 2024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영학과 교수
지구건강식단의 개념과 실천
Concept and Practice of Planetary Health Diets
학습목표(Learning Objectives)
1. 지구건강식단의 개념와 배경을 이해한다.
2. 지구건강식단과 지속가능한 식단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3. 지구건강식단의 실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1. Understand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Planetary Health Diets.
2. Be 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Planetary Health Diets and Sustainable Diets.
3. Be able to explain how to practice Planetary Health Diets.
초록(Abstract)
지구건강식단은 지구 환경과 인간 건강에 모두 이로운 식단이다. 이것은 기존의 지속가능한 식단과 유사하지만 사회에의 이로움, 즉 사회적 공정성을 포함하지 않는 개념으로 소개되었다. 지구건강식단은 기후위기 극복과 만성질환 예방 모두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과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식생활지침을 만들어 국민들의 지구건강식단의 실천을 장려하는 나라들이 늘고 있다.
Planetary Health Diets have a mutually beneficial effect on both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While analogous to sustainable diets, they lack consideration of societal benefits, specifically social equity. Planetary Health Diet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efficacious in addressing both climate crisi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thereby enhancing their perceived importance. Consequently, a growing number of countries are developing dietary guidelines that consider both health and the environment, encouraging their citizens to adopt Planetary Health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