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구강건강관리, 생활습관병 치료의 숨겨진 열쇠

Oral Health Care : The Hidden Key to Treating Lifestyle Diseases




학습목표(Learning Objectives)


  1. 구강 건강과 전신 질환의 양방향적 관계를 설명하고, 적극적인 치주치료가 당화혈색소(HbA1c) 및 혈압과 같은 주요 건강 지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2. '구강건강관리'를 생활습관의학의 새롭고 필수적인 핵심 요소(pillar)로 정립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생활습관병의 관리 및 역전을 위해, 의과와 치과 의료진이 협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임상 적용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1. Explain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systemic diseases, citing evidence that active periodontal therapy can improve key health markers like HbA1c and blood pressure.

2. Articulate the rationale for establishing & 'Oral Health Management' as a new, essential pillar of Lifestyle Medicine.

3. Identify practical strategies for medical and dental professionals to collaborate, fostering a holistic approach to managing and reversing lifestyle-related diseases.



초록(Abstract)


생활습관의학(LM)은 영양, 신체활동, 수면 등 6대 핵심 요소를 통해 생활습관병을 관리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전신 건강과 직결된 체계적인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은 아직 강조되지 않고 있다. 초고령화 사회의 치과 임상 현장에서 중증 치주질환 및 다발성 우식 환자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생활습관병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치과치료는 여전히 치과적 영역에 국한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생활습관관리를 동반한 적극적인 치주치료와 구강건강관리교육을 시행합니다. 이는 구강 건강의 개선 뿐만 아니라, 당화혈색소(HbA1c), 혈압 등 주요 전신 건강 지표를 유의미하게 개선시켰다. 게다가 생활습관병의 개선을 동반한 구강건강은 장기적으로도 치과치료의 예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는 구강 건강 관리가 전신 건강 관리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강력한 치료법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양 방향의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의료인은 의과, 치과 모두 많지 않은 것 같다.


본 강의는 생활습관의학의 새로운 핵심 요소(pillar)로서 ‘구강건강관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학계에는 전신질환 관리에서 구강 건강의 중요성을, 치의학계에는 국소 치료를 넘어선 전인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궁극적으로는 두 분야의 더 활발한 교류로 생활습관병 역전에 한 발 더 다가서고자 한다.


Lifestyle Medicine (LM) recommends managing lifestyle-related diseases through its six core pillars, which is directly linked to systemic health, remains underemphasized. In the dental clinics of our super-aged society, it is common for patients with severe periodontal disease and/or multiple caries to also present with lifestyle-related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However, dental care often remains siloed within the dental domain. My clinic provides active periodontal therapy and oral health education integrated with lifestyle management. This comprehensive approach ha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not only in oral health but also in key systemic health indicators, including glycated hemoglobin (HbA1c) and blood pressure. Furthermore, enhancing oral health in conjunction with the management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contributes to maintaining a stable and favorable long-term prognosis for dental treatments. This

suggests that oral health care is a potent therapeutic strategy capable of creating synergy with systemic healthcare. Regrettably, few clinicians in either medicine or dentistry seem to recognize or apply the importance of this bidirectional approach in their practice.


This lecture, therefore,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Oral Health Care’ as a new pillar of Lifestyle Medicine. By doing so, we intend to highlight the role of oral health in systemic disease management for the

medical community,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a holistic, beyond-the-mouth approach for the dental community. Ultimately, my goal is to foster more dynamic collaboration between these two fields, taking a

significant step forward in the reversal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호수 전경

김배경 의사

DDS, DipIBLM/KCLM

구강건강관리, 생활습관병 치료의 숨겨진 열쇠
Oral Health Care : The Hidden Key to Treating Lifestyle Diseases

구강악안면외과, LM

bottom of page